반응형
인테리어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면 여러가지 고민이 되겠지만 개인적으로 바닥 마감재를 무엇으로 선택할 지가 가장 고민이 될 듯 싶다. 그래서 바닥 마감재의 종류와 각 자재의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1. 바닥마감재 장단점 정리표
분류 | 개요 | 장점 | 단점 | |
나무마루 | 강마루 | 합판 위에 얇은필름 | 외부손상 및 습기에 강함, 실용적 | 고급스러움이 떨어짐 |
원목마루 | 합판 위에 얇은원목 | 고급스러움, 자연스러움 | 고가, 관리가 어려움 | |
합판마루 (온돌마루) |
합판 위에 얇은 무늬목 | 고급스러움, 경제적, 비교적 관리가 쉬움 | 고가, 원목마루에 비해 덜고급 | |
강화마루 | HDF 합판에 시트지 | 내구성이 뛰어남, 접착식 공법, 공사 및 철거 용이 | 고급스러움이 떨어짐 | |
장판 | 폴리 염화비닐이나 PVC소재 | 저렴하다, 시공이 용이하다, 방수기능, 보행감 좋음 | 변형, 탈색에 취약 | |
대리석 | 천연대리석 | 심미적으로 아름다움 | 오염되면 보수가 어려움, 안정상 위험 | |
타일 | 자기질 or 포세린 타일 | 방수기능 좋음, 청소가 용이 | 디자인이 한정됨, 안전상 위험 |
위와 같이 바닥 자재의 여러가지 특성을 알아 봤습니다. 일반적인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닥자재는 강마루나 장판을 사용하는 세대들이 많고 요즘 일부 주택에서는 바닥에 타일로 마감하는 사례도 많은 것 같습니다.
2. 그 외 자재선정시 고려사항
1) 용도에 맞게 마감재를 선택해야합니다. 사용하는 실의 용도에 맞게 바닥 재를 선택해야 기능상 부족함이 없게됩니다.
2) 비용 및 유지관리도 고려해야 합니다. 처음 설치해놨을 때는 아름다울 수 있지만 계속해서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보수비용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관점으로도 고려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집에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대리석이나 타일 같이 딱딱하고 차가운 바닥보다는 나무마루종류 또는 장판으로 마감하는 것이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도 좋을 수 있습니다.
'👷♂️ 본케 Archive > 🎓 건축전공 일개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방상판(싱크대) 재질의 종류 및 장단점 (0) | 2024.07.27 |
---|---|
건축물 외벽에 어닝(접이식 차양막) 설치 가능여부 (0) | 2024.07.19 |
건축용 판넬의 종류 및 장단점 (우레탄판넬, 글라스울판넬, EPS판넬) (1) | 2024.03.08 |
NSC(Nominated Sub-contractor) 계약 방식의 정의 및 특징 (0) | 2023.11.06 |
단독주택에서의 모듈러주택의 현황과 가능성 (0)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