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방상판(싱크대) 재질의 종류 및 장단점
주택이라면 어느 집에나 있는 주방, 그 안에 가장 시각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상판입니다. 상판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자재가 사용되는데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판의 종류
1) 스테인레스 : 가장 저렴하면서 관리가 편하고, 쉽게 녹슬지 않아 많은 곳에서 예전부터 사용해 오던 자재입니다.
2) 인조대리석 : 쉽게 설명하면 돌가루와 본드를 섞어서 굳힌 자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어느정도 강도와 괜찮은 미관을 가지고 있지만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혹시 깨지더라도 보수가 가능하다
3) 엔지니어드 스톤 :
3) 천연대리석 : 말그대로 천연에서 나온 대리석이다. 자연에서 채취한 돌판 그 자체 이기 때문에 비용이고 가고 깨지거나 손상이 가면 보수가 어렵지만 가장 수려한 미관을 볼 수 있다.
4) 세라믹 : 쉽게 설명하면 타일같은 자재라고 보면 될 것이다. 오염에 강하고 표면강도도 강하지만 디자인에 한계가 있고, 일반 가정집에서 많이 쓰이는 자재는 아니다.
2. 상판자재 종류별 장단점
종류 | 장점 | 단점 | 비고 |
스테인레스 | 비용저렴, 관리용이 | 미관이 안좋음, 장시간 미사용시 녹슮 |
식당 주방 등에 많이 사용 |
인조대리석 | 유지보수 편리, 준수한 미관 | 인공적인 패턴, 오염시 제거 힘듦 | 주택에 많이사용 |
엔지니어드 스톤 | 열, 긁힘에 강하고 흡수율 낮음 | 고가 | 고급자재 |
천연대리석 | 수려한 미관, | 유지보수가 어려움 | |
세라믹 | 오염에 강함, 내열성 강함 | 디자인이 한정적임, 가공이 어려움 | 고급자재 |
목재 | 따뜻하고 네추럴한 느낌 | 곰팡이, 세균번식, 변색 |
3. 상판의 관리
기본적으로 세라믹 상판의 경우를 제외하고 다른 자재들의 경우 찍힘이나 돌의 공극으로 김치국물 같은 것들이 들어가면 잘 지워지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사용하기 전에 미리 오일로 상판의 공극을 메꾸고 광택을 내주는 작업을 선행한다면 조금 더 오랫동안 깨끗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 본케 Archive > 🎓 건축전공 일개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바닥마감재(마루)의 종류와 장단점 (2) | 2024.07.22 |
---|---|
건축물 외벽에 어닝(접이식 차양막) 설치 가능여부 (0) | 2024.07.19 |
건축용 판넬의 종류 및 장단점 (우레탄판넬, 글라스울판넬, EPS판넬) (1) | 2024.03.08 |
NSC(Nominated Sub-contractor) 계약 방식의 정의 및 특징 (0) | 2023.11.06 |
단독주택에서의 모듈러주택의 현황과 가능성 (0)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