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9 [더 샌드박스] 더 샌드박스 한국 대기업과 제휴 (CJ E&M, 롯데월드, 하나은행) 이번주 굵직한 3개 한국 기업과 샌드박스가 제휴를 맺었다. 이와 관련해서 몇가지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선 링크를 공유하니, 참고해 보시면 좋을듯,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711_0001937856&cID=15001&pID=15000 하나은행, 더 샌드박스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하나은행은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더 샌드박스(The Sandbox)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www.newsis.com https://www.news1.kr/articles/?4730955 CJ ENM-더 샌드박스, K-콘텐츠 메타버스 구축 맞손 사실 앞에 겸손.. 2022. 7. 19. 2-3. 갓파고의 뜻을 따라라 (숏폼 & 알고리즘) 2-3. 갓파고의 뜻을 따라라 (숏폼 & 알고리즘) 기본적으로 트렌드를 타야한다는 내용은 앞서 언급했으니 방법론 적으로 접근해보자 추천영상은 과거에 내가 시청했던 영상들을 기반으로 추천해주기 때문에 나한테 추천되는 영상과 다른사람에게 추천되는 영상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전체적으로 어떤 컨텐츠가 유행인지를 보려면 '탐색'탭에서 인기동영상을 검색해봐야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보는 동영상들이 탐색에 인기영상으로 올라와있는데 전체적인 트렌드를 읽는 관점에서도 하루에 한번정도는 어떤영상들이 사랑을 많이 받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만약 탐색탭의 인기 영상들중에 여러 영상들이 한가지 주제를 가지고 인기를 얻고있다면 이것은 메가 히트 컨텐츠인 것이다. 과거 예를 들자면 오징.. 2022. 3. 29. 2-2. 트렌드를 타라 (Ex. 오징어게임) 2-2. 트렌드를 타라 (Ex. 오징어게임) 앞서 말했던 것과 같이 유튜브 플랫폼을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재미있다고 느끼는 것들을 추천하고 관련된영상을 시청자에게 계속해서 제공한다. 그런 환경에서 내가 만든 컨텐츠가 사랑을 받으려면 1절에서 얘기한 것 처럼 기본적으로 재미가 있어야겠지만 여기에 반드시 고려해야할 변수가 존재한다. 기존 매체보다 훨씬 빠르게 변하지만 유튜브안에서는 확실하게 몰아치는 트렌드를 타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오징어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유튜브 시청자들이 오징어 게임이라는 키워드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관련된 컨텐츠를 많은 유튜버들이 만들어냈다. 그 만들어낸 영상들은 알고리즘은 키워드를 연결시켜 많은 사람들에게 추가로 추천을 해주는 시스템인 것이다. 가령 지금 BTS가 신곡을 .. 2022. 3. 29. 2-1. 유튜브 플랫폼의 특징 (재미 / 대중성, 전문성) 1-4. 현실을 바꿀 수 있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경로 (기회비용) 2-1. 유튜브 플랫폼의 특징 (재미 / 대중성, 전문성) 자, 1장에서의 글을 읽고 유튜브를 해야겠다는 결심이 섰다면 이제 유튜브가 어떤 플랫폼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플랫폼이라는 단어안에 모든것이 함축되어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유튜브는 사람들이 만들기도하고, 소비하기도하며, 심지어 수입을 올리는 경제활도이 가능한 공간이다. 기본적으로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영상을 올리는 것 까지는 사실상 누구나 할 수 있으며, 그중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거나 (꾸준히 할 수 있는 능력도 재능이다) 본인의 컨텐츠 역량에 따라 일반인들이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람들도 생겨났고, 앞으로도 더 많이 생.. 2022. 3. 29.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