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FT의 구성에 마지막으로 확인해볼 아이템은 아바타이다.
개인적으로 이 아바타야 말로 샌드박스에서 추구하는 상호환성에 대표적인 사례라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샌드박스 내 아바타를 적용하기 위해 민팅 된 도기, POC, 스티브 아오키도 있지만 여러 채널을 통해 확인한 것 처럼 기존에 잘나가는 메이져 프로젝트 들과도 연동됨을 알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내사 BAYC원숭이를 2D이미지로 가지고 있지만 그 NFT를 가지고 샌드박스에 접속하면
내PFP에 적용되어있는 특성들을 살려 3D아바타를 만들어주고,
2D 생태계에서 단순히 회원권 수준에서 머물 수 도 있었던 PFP가 더샌드박스 내에서는 3D로 나를 대신해서 뛰어다니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장기적으로도 세계관의 연결이며, 샌드박스 생태계에는 긍정적일 수 밖에없다.
잘나가는 메이저 프로젝트들과의 꾸준한 협력과 기존 세상의 여러 기업들과의 콜라보로 샌드박스 세상에서는 오프라인 세상과 더불러 새로운 PFP 들이 뛰어다니며 함께 어울린다면 우리가 지금 꿈꾸는 메타버스도 멀리 있지 않을 듯 싶다.
현재까지 확인된 프로젝트
오늘의 결론
상호호환성 측면에서 아바타는 생태계를 확장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더샌드박스 공홈에서 진행하는 아바타 민팅은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으니 관심을 가져보도록 하쟈
'👩🚀 부케 Archive in Metaverse > 🌎 Web3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샌드박스] 알파 시즌3 일정 공개! (8월 24일 시작!) (0) | 2022.08.17 |
---|---|
[더 샌드박스] 잼(JAM)의 능력치 부여방법과 좋은 에셋(ASSET)이란? (0) | 2022.08.10 |
[더 샌드박스] 토큰 이코노미 - 4) 아트 (0) | 2022.08.05 |
[더 샌드박스] 토큰 이코노미 - 3) 랜드(LAND) 개론 (0) | 2022.08.04 |
[더 샌드박스] 스티브 아오키 리빌(reveal) 결과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