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른 NFT들에 비해 어떤 가치로 평가받을지 가장 예상하기 어려운 NFT이다.
말그대로 예술작품으로 카탈리스트나 잼으로 능력치를 부여한 것이 아니고,
말그래도 심미적인 능력치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여 가치를 평가 받게 될 듯 싶다.
사람들이 복셀로 된 아트를 구입하려면 정말 이쪽 생태계에 심취해야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가치평가가 가장 늦게 이뤄질 것으로 생각된다.
얼핏 보면 가치가 0에 수렴할 수 있으나 그러한 일을 방지하고자?
백서상에는 아트 챌린지를 개최하여 지속적으로 멋진 NFT를 생산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려는 노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과연 유틸리티 없는 심미적인 NFT가 얼만큼의 가치 평가를 받을지는 기대가 된다. 물론 민팅 수량이 적어야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트의 경우 정확하게 생태계에 어떻게 기여할지 예상하기 힘든부분이며, 한정된 숫자만 채굴되는 카탈리스트와 잼이 없이 민팅이 가능하게 하려는 보조수단으로 생각되지만 정말로 샌드박스 복셀 생태계가 거대해 진다면 이또한 한 장르로 자리 잡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시점에 민팅이 되어있는 아트의 퀄리티를 하번 보면서 글을 마무리 하면 좋겠다.
오늘의 결론
아트는 카탈리스트와 잼 없이 (정량적 가치) 없이 만들어낼 수 있는 NFT로 현시점에서 가치평가는 어렵지만 제작 수준은 계속해서 향상되고 있다.
'👩🚀 부케 Archive in Metaverse > 🌎 Web3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샌드박스] 잼(JAM)의 능력치 부여방법과 좋은 에셋(ASSET)이란? (0) | 2022.08.10 |
---|---|
[더 샌드박스] 토큰 이코노미 - 5) 아바타 (0) | 2022.08.05 |
[더 샌드박스] 토큰 이코노미 - 3) 랜드(LAND) 개론 (0) | 2022.08.04 |
[더 샌드박스] 스티브 아오키 리빌(reveal) 결과 (0) | 2022.08.02 |
[더 샌드박스] 샌드박스가 처음이라면 1시간만 투자보세요 (연합뉴스경제TV 인터뷰영상) (1) | 2022.08.02 |
댓글